[ Openlayers ] ESPG:4326 vs ESPG:3857 뭘 써야 할까?

2023. 5. 12. 12:46· Openlayers
목차
  1. ESPG(European Petroleum Survey Group)?
  2. ESPG:4326
  3. ESPG:3857
  4. 결론 - 뭘 써야 할 까?

오픈 레이어스를 사용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만나게 되는 좌표계 ESPG:4326 와 ESPG:3857
각각 무엇인지, 결론적으로 뭘 써야 할 지 알아보도록 하자.

만약 Openlayers를 이용하여 지도를 그리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지도그리기 포스트를 참고하자!

ESPG(European Petroleum Survey Group)?

먼저, 들어가기 전에 ESPG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간단히 알아보자.

 

ESPG코드는 전 세계 좌표계 정의에 대한 고유한 명칭으로 상세 정의는 PROJ.4와 wkt라는 문자열로 이루어 진다.

ESPG 공식 페이지에서 볼 수 있는 ESPG:3857와 ESPG:4326는 아래와 같다.

 

<PROJ.4 - ESPG:3857>

+proj=merc +a=6378137 +b=6378137 +lat_ts=0 +lon_0=0 +x_0=0 +y_0=0 +k=1 +units=m +nadgrids=@null +wktext +no_defs +type=crs

 

 

<PROJ.4 - ESPG:4326>

+proj=longlat +datum=WGS84 +no_defs +type=crs

각 PROJ.4에서 투영체를 의미하는 +proj 부분을 살펴보면

ESPG:3857의 경우, +proj=merc로 메르카토르 투영법을 사용 했다는 것을, 

ESPG:4326의 경우, +proj=longlat으로, WGS84 타원체의 경위도 좌표계를 의미한다.

이렇듯, PROJ.4만 읽어도 각 좌표계가 어떤 인자를, 어떤 투영체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부분은 필요할 때마다 찾아보고 넘어가도록 한다.

 


ESPG:4326

ESPG:4326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좌표,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를 사용하는 CRS(Coordinate Reference System)입니다. 우리나라 좌표를 생각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위도 37, 경도 127가 바로 그것이다.

 

이 방식의 특징은 지구의 타원체 모델을 사용하고, 곡률을 계산하여 지구의 표면을 나타내, 거리계산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타원체 모델을 사용하는 만큼 타원형 지구를 보여주는 Google Earth에서, 그리고 정확한 위치계산 및, 거리계산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GIS에서 사용하고 있다.

 


ESPG:3857

ESPG:3857의 경우, 메르카토르 투영법을 사용하는 좌표계로써, Google Maps, OpenStreetMap, Bing, ArcGIS, ESRI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 방식의 특징은 타원형의 지구를 2D 평면 지도에 표시한 좌표계 라는 것에 있다.

따라서 당연히 오차가 발생 할 수 밖에 없고, 이 좌표계로는 거리 계산이 불가능한 점이 있다.

 


결론 - 뭘 써야 할 까?

개인적으로 

단순히 웹페이지에서 지도를 보여주기 위함이라고 한다면, ESPG:3857을 사용하는 것이,

만약, 지도 데이터가 longitude, latitude방식으로 저장되어 있거나 거리계산과 같은 정밀함이 필요하다면 ESPG:4326를 사용하는 것이 맞다고 결론을 내렸다.

 

특히나 나의 경우, 자동차 주행 데이터가 위도, 경도로 저장이 되어 있고, 거리 등을 계산해야 하는 부분이 필요하여 ESPG:4326을 사용하기로 했다. 

 

<참고링크>

GISDEVELOPER

Vue3Openlayers

ESPG공식문서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Openlay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layers] 3 - 지도 위에 아이콘(custom marker) 출력  (2) 2023.05.30
[Openlayers] 2 - 지도 클릭 이벤트로 좌표 출력  (1) 2023.05.15
[ Openlayers ] 1 - OSM 지도 그리기  (0) 2023.05.15
  1. ESPG(European Petroleum Survey Group)?
  2. ESPG:4326
  3. ESPG:3857
  4. 결론 - 뭘 써야 할 까?
'Openlay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Openlayers] 3 - 지도 위에 아이콘(custom marker) 출력
  • [Openlayers] 2 - 지도 클릭 이벤트로 좌표 출력
  • [ Openlayers ] 1 - OSM 지도 그리기
moyanglee
moyanglee
moyanglee
moyang
moyanglee
전체
오늘
어제
  • 전체보기 (173)
    • java,springboot (22)
    • CI CD (8)
    • 보안 (1)
    • Vue (21)
    • TypeScript (14)
    • SQL (2)
    • Docker (11)
    • JavaScript (17)
    • React (3)
    • NextJS (14)
    • d3 (2)
    • Git (3)
    • network (2)
    • Openlayers (4)
    • 테스트코드 (5)
    • NestJS (9)
    • 개발환경 (7)
    • Algorithm (6)
    • TypeORM (5)
    • CSS (7)
    • MySQL (5)
    • Linux (5)

블로그 메뉴

  • 홈
  • 방명록

공지사항

  • 현재 노션의 내용을 블로그로 옮기는 과정에 있습니다.
  • github, notion 링크

인기 글

태그

  • Docker
  • node 버전 변경
  • typeorm
  • r2dbc
  • npm 버전 변경
  • ts
  • jest
  • useRef
  • mysql
  • typescript
  • springboot
  • object
  • NestJS
  • AWS
  • Entity
  • Uncaught (in promise) Error: Redirected when going from
  • js
  • Error: P1001: Can't reach database server at
  • d3
  • java
  • OOP
  • no space left on device
  • Migration
  • vue
  • generic
  • OpenLayers
  • vue3
  • nextjs
  • Error: P1001
  • react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v4.2.0
moyanglee
[ Openlayers ] ESPG:4326 vs ESPG:3857 뭘 써야 할까?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