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chronize

· NestJS
NestJS 프로젝트를 하게 되면 만들게 되는 entity파일들을 통해, DB 테이블을 생성하는 방법은 많이 이용해 봤을 것이다. (참고로, synchronize 옵션을 통해 가능하다.) 이번에는 반대로 DB에 생성된 테이블들을 이용해 entity파일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본다. 1. 라이브러리 설치 npm i -g typeorm-model-generator 2. cli 명령어로 entity 파일 생성 npx typeorm-model-generator -h IP주소 -d DATABASE이름 -p 포트 -u DB계정 -x 비밀번호 -e DB타입(e.g. mysql) -o 파일 출력장소(e.g. ./src/migrations/test) 이제 위 명령어로 매우 간단하게 entity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 NestJS
Client에 배포를 할 때, 클라이언트 측 DB에 Admin계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만약 없다면 해당 DB에 정해진 계정을 넣어줘야 하는 일이 생겼다. 어떻게 이러한 문제를 TypeORM의 migration으로 해결 할 수 있는지 정리해보자. 개발 환경 우선 현재 NodeJS기반에서 NestJS 프레임워크, DB는 Mysql, TypeORM을 사용하고 있으며, Docker를 이용하고 있다. DB는 docker로 띄우지 않고, 폐쇄망에 따로 마련된 DB를 이용하고 있다. (참고로, Front, Backend 두개의 컨테이너를 띄우고 있다.) Migration? 우선 migration이 무엇인지에 대해 간략히 정리하고 넘어가자. NestJS의 공식문서에 따르면, Migrations은 기존 데이터베이스에..
moyanglee
'synchronize'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