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pringboot

spring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query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System.our.println() 을 이용 했는데, 아래처럼 읽을 수 없는 문자를 출력하는 것을 발견했다. 해결방법에 대해 적어 놓자. 해당 문구가 무엇인지는 스택오버플로우를 보고 확인했고, 방법은 간단하다. toString()메소드를 쓰는 것! 나의 경우는 List 타입이었기 때문에, 먼저 toArray()를 이용해, 타입을 바꿔주고, 이중배열이었기에, deepToString()을 통해 해결 할 수 있었다. System.out.println(Arrays.deepToString(retList.toArray()));
Springboot에서 @Value, @ConfigurationProperties annotation을 이용하여, 여러개의 프로퍼티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properties 파일은 뭔가요? (feat. yml) 우선, 어떻게 설정하는지에 앞서, properties가 무엇인지 언제 쓰이는지에 대해 먼저 간략히 알아봅시다. properties파일은 Application 구동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저장하기 위해, 자바관련 기술을 주로 사용하는 파일들을 위한 확장자입니다. 제가 느끼기 properties 파일은, 환경변수들을 관리하는 파일 + 여러가지 예약된 프로퍼티 키를 이용해 설정 편리화(docker-compose.yml과 흡사)하는 파일이라고 생각됐습니다. 그럼 항상 properti..
스프링 부트를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하려고 하다 보면, 가장 처음 맞딱들이게 되는 Maven vs Gradle? 각각 두개가 무엇인지, 차이가 무엇인지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자 Maven과 Gradle은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땡겨서 오고, 빌드하는 라이프사이클까지 모두 관리해주는 툴이다. 예전에는 대부분 Maven 프로젝트로 작성되어져었다고 하지만, 요즘 최신 스프링 프로젝트들은 대부분 다 gradle 프로젝트로 작성되고 있으며, 심지어 스프링 라이브러리 자체도 gradle 프로젝트로 작성되어져 있다. Why Gradle? 다음 링크는 gradle홈페이지에서 maven과 gradle의 차이에 대해 적어놓은 포스팅이다. 결론적으로 사람들이 gradle을 선택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다. Flexibility ..
Java에 대해 배우기 위해 그 근간이 되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과 관련 개념들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해당 포스트는 자바 공식홈페이지를 참고(번역?)했습니다. What is an Object? 프로그래밍을 해봤으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이라는 것에 대해 한번 쯤은 듣게 됩니다. 가장 먼저, OOP에서 객체(Object)가 무엇인지에 대해 간략히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객체란, 서로 관련된 상태와 행동을 하나로 묶어놓은 소프트웨어의 번들입니다. 이러한 객체는 모두 상태(state)와 행동(behavior)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라는 객체는 이름, 색깔, 품종, 배고픔정도와 같은 상태와, 짖고, 꼬리를 흔들고, 물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