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의 핵심 기능 DI(Dependency Injection), IoC(Inversion of Control). 오늘은 그 중 Spring에서 DI를 하는 3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생성자 주입 방식이 왜 가장 추천되는지 코드를 통해 살펴 보며 마무리 하겠습니다. 목차 DI 란? DI의 3가지 방법 필드 주입 Setter 주입 생성자 주입 BEST 방법 -> 생성자 주입 방식 생성자 주입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로 넘어 가고 싶다면 바로 밑으로 쭉 내리시면 됩니다. DI 란? 구체적인 DI방식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간단히 DI의 정의에 대해 알아 봅시다.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은 하나의 객체가 다른 객체의 의존성을 제공하는 테크닉을 ..
spring
![](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ZIwjU%2Fbtr02zmPK22%2FgwKfTIQkRrBXdfHr8Se3tK%2Fimg.png)
Spring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아래와 같은 에러메시지를 만났다. 해결방법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본다. 에러 메시지 parameter 1 of constructor in required a bean of type that could not be found 1. bean 등록 확인하기 에러메시지가 말하는 바는 명확하다, constructor의 1번째에 오는 인자에 필요한 bean이 제대로 등록이 안되어 있다는 것이다. 빈 등록을 하는 2가지 방법과 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면 다음링크를 참고하자.(링크) 아래 코드를 통해, 어떤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는지 알아보자. @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Test{ private final Test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