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Vue
EventListener를 제대로 붙였음에도 Scroll Event의 Handler가 제대로 호출이 안되는 버그를 수정하고, 그에 대해 정리하고자 합니다. Problem 바로 코드를 보자. import { defineComponent, onMounted, ref } from "vue"; export default defineComponent({ setup() { const scrollTop = ref(0); function scrollHandler() { console.log("scrollHandler has been triggered!") } onMounted(() => { document?.getElementById("content")?.addEventListener("scroll", scrollHa..
글의 제목대로 vsCode환경에서, Gradle 툴을 이용해서 java파일을 빌드하는 과정을 처음부터 끝까지 찬찬히 정리해보고자 한다. 순서는 다음과 같으며, 이미 진행한 프로세스라면 그 다음 프로세스로 바로 넘어가면 될 것같다. JAVA 설치 및 vsCode Extension 설치 JAVA_HOME 환경변수 설정 1. JAVA(jdk) 설치 및 jdk는 라이센스문제로 대부분 openjdk를 사용한다고 하고, 실제로 나도 openjdk를 설치했다. 나는 현재시점에서 공식문서와 매우 많은 사람들이 추천하는 17버전을 설치하였다.(2023.01.30) 설치하는 방법은 꽤 있지만, 나는 homebrew를 이용하여 설치해보기로 했다. homebrew가 낯설었지만 사용하면 할 수록 정말 편한 것 같다. 1. In..
Spring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아래와 같은 에러메시지를 만났다. 해결방법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본다. 에러 메시지 parameter 1 of constructor in required a bean of type that could not be found 1. bean 등록 확인하기 에러메시지가 말하는 바는 명확하다, constructor의 1번째에 오는 인자에 필요한 bean이 제대로 등록이 안되어 있다는 것이다. 빈 등록을 하는 2가지 방법과 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면 다음링크를 참고하자.(링크) 아래 코드를 통해, 어떤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는지 알아보자. @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Test{ private final TestR..
spring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query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System.our.println() 을 이용 했는데, 아래처럼 읽을 수 없는 문자를 출력하는 것을 발견했다. 해결방법에 대해 적어 놓자. 해당 문구가 무엇인지는 스택오버플로우를 보고 확인했고, 방법은 간단하다. toString()메소드를 쓰는 것! 나의 경우는 List 타입이었기 때문에, 먼저 toArray()를 이용해, 타입을 바꿔주고, 이중배열이었기에, deepToString()을 통해 해결 할 수 있었다. System.out.println(Arrays.deepToString(retList.toArray()));
Springboot에서 @Value, @ConfigurationProperties annotation을 이용하여, 여러개의 프로퍼티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properties 파일은 뭔가요? (feat. yml) 우선, 어떻게 설정하는지에 앞서, properties가 무엇인지 언제 쓰이는지에 대해 먼저 간략히 알아봅시다. properties파일은 Application 구동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저장하기 위해, 자바관련 기술을 주로 사용하는 파일들을 위한 확장자입니다. 제가 느끼기 properties 파일은, 환경변수들을 관리하는 파일 + 여러가지 예약된 프로퍼티 키를 이용해 설정 편리화(docker-compose.yml과 흡사)하는 파일이라고 생각됐습니다. 그럼 항상 properti..
· Linux
run.sh와 같이 쉘스크립트 파일을 만들어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run.sh와 같이 실행을 해보면, 아래와 같은 에러메시지를 볼 수 있다. zsh permission denied: ./run.sh 이는 해당 스크립트 파일에 권한 부여가 잘 안되어 있기 때문이다. chmod 명령어를 통해, 실행권한을 부여해 주자. 필자는 아래처럼 그냥 777로 모든 권한을 부여해버렸지만, chmod 777 ./run.sh 제대로 하고 싶다면 아래 부분을 참조하여 권한 부여를 해주자.(출처: 블로그) $ chmod u+x FILE # 파일 소유 사용자에게 실행권한 추가. $ chmod u+w FILE # 파일 소유 사용자에게 쓰기 권한 추가. $ chmod u=rwx FILE # 파일 소유 사용자에게 읽기, 쓰기, 실행..
moyanglee
moyang